어지러움은 살면서 한두 번은 경험하게 되는 증상입니다. 컨디션이 좋지 않아 일시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특정한 질환이 발생하면 어지러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어지러움의 원인으로 꼽는 이석증은 빙빙 도는 듯한 심한 어지러움이 몇 초 내지 1분 가까이 나타나다 사라지는 증상이 반복되는 질환입니다.

 

 

이석증

이석증 명칭의 해석은 '양성 발작성 체위성 현훈'으로 여기서 양성이라는 뜻은 특별한 뇌질환이나 귓병이 없는데도 어지러움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발작성 체위성은 갑자기 증상이 나타났다가 저절로 없어지는 증상이 반복되어 몸의 자세가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석증의 원인

우리의 귀 내부에는 반고리관이라는 몸의 균형유지에 관여하는 중요한 구조물이 있습니다. 반고리관에 있는 매우 작은 칼슘 결정체가 바로 이석(耳石)입니다. 이석은 우리가 머리나 몸을 움직일 때 감각세포를 자극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필수적인 구조물입니다. 이석이 원래의 자리에서 떨어져 나와 귀 내부를 돌아다니면서 감각세포를 과도하게 자극하게 되면 주위가 빙빙 도는 어지러움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이석이 자리하고 있던 위치에서 떨어져 나와 반고리관 안의 액체와 함께 흘러 다니거나 붙게 되면 자세유지에 관여하는 신경을 과도하게 자극하여 어지러움증이 발생합니다. 이석이 원래 자리에서 떨어져 나오는 이유는 정확하게 규명된 것은 없지만, 심한 외부 충격이나 골밀도가 감소된 경우, 바이러스 감염 또는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해 발병되기도 합니다.

 

어지러움은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귀의 이상 문제

귀에 문제가 생겨 급성 현훈이 나타나는 경우는 100명당 2~3명이 발생할 정도로 살면서 한 번은 경험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이석증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누운 상태에서 자세를 바꿀 때 많이 경험하게 됩니다. 누웠다 일어날 때, 누워서 고개를 들거나 숙일 때 또는 돌아 누울 때 갑자기 어지러움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심한 경우에는 메스꺼움이나 구토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중추신경계의 문제

소뇌와 뇌간 등 뇌의 문제로 어지럼증이 생기는 경우는 대부분 심한 두통과 신체 여러 부위의 감각에 이상점이 발견됩니다. 팔다리가 마비되거나 발음에 문제가 나타나고 사물이 겹쳐 보이거나 음식을 삼키기 어려움, 비정상적인 보행 문제 등 여러 가지 중 한 가지 이상 동반됩니다. 간혹 스스로 서 있기 굉장히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연령

연령을 살펴볼 때 이석증은 50세 이상에서 주로 많이 나타납니다. 이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내이(內耳)의 허혈로 불완전하게 이석이 형성되기 쉽고, 이석 기관의 노인성 퇴행 변화로 인해 유동성 석회물질의 생성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질병의 감염으로 인해 어지럼증이 주로 생기는 연령은 40~50대이고 외상은 20~60대 골고루 분포되며, 원인을 규명하기 어려운 경우는 60대가 가장 많습니다.

 

 

 

이석증의 증상

이석증은 결석이 생겨난 반고리관의 위치에 따라 분류됩니다. 후방 반고리관 이석증, 전방 반고리관 이석증과 외측 반고리관 이석증으로 분류합니다. 전방과 외측 반고리관 이석증은 드문 편이고, 후방 반고리관 이석증이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귀가 바닥에 닿으면 중력으로 인해 반고리관 내의 림프액의 흐름과 이석의 이동으로 현기증을 느끼게 됩니다. 전방 및 외측 반고리관도 각 반고리관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현기증을 느끼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아침에 일어날 때 많이 경험하고, 목을 아래위로 움직일 때나 베개를 벨 때 순간적으로 현기증이 발생합니다. 이때 자율신경계를 자극되어 구역, 구토, 오심,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과 식은땀이 나기도 합니다. 간혹 균형을 잡지 못하고 쓰러지거나 현기증이 멈춘 후에도 머리가 무겁게 느껴지거나 구역 증상이 지속되기도 합니다.

 

환자 대부분이 어지러움과 구역, 구토를 호소하지만 이러한 현기증은 1분 이내로 짧게 나타나며, 가만히 있으면 곧바로 증상이 사라집니다. 머리 위치를 자주 바꾸지 않는다면 일상생활에 지장은 없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석증의 진단

이석증의 진단에 중요한 것은 특정한 병력과 이학적인 검사입니다. 진찰을 통해 중이염의 유무를 확인하고, 갑작스러운 심한 현기증을 경험한 적이 있고 머리를 움직일 때마다 어지러움이 심해지면 이석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석증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로 딕스-홀파이크 검사가 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현기증을 유발하여 안구가 떨리면서 초점을 맞추기 어려운 상태를 확인하면 이석증으로 진단합니다.

 

특별한 장치로 눈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안진은 몇 초의 잠복기가 있으며 여러 번 반복하면 안진이 줄어드는 피로현상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진단이 어려운 경우 청력검사와 평형기능 검사 및 MRI 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기도 합니다.

 

귀 내부 구조와 이석증 위치
이석증

 

 

이석증의 치료와 예방

이석증은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몇 주의 시간이 경과하면 호전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후유증도 거의 없습니다. 어지러운 증상은 빠른 진단과 치료를 받으면 금방 호전됩니다. 이석증이 발생하는 원인이 반고리관 내 이석이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석 치환술을 시행합니다. 반고리관 내 원래의 위치를 벗어난 이석을 원위치로 되돌려 어지럼증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이석의 위치에 따라 시술방법이 달라지므로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반고리관 내 이석들은 언제든지 이탈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가 잘 되었더라도 재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이석 치환술로 치료가 쉽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두부손상이 있었거나 골다공증 또는 비타민D 부족, 메니에르병이나 돌발성 난청과 같은 질환이 있는 경우 이석증이 재발하거나 치료기간이 길어집니다.

 

이석증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현재 알려진 것은 없습니다. 다만 골다공증이 있다면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고, 비타민D 결핍이라면 자주 햇볕을 쬐거나 비타민D를 복용하는 것이 발병률을 줄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